Algorism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쇠막대기 (Swift)

codinglearn 2020. 7. 10. 11:51
반응형

문제 설명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합니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릅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합니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습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습니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줍니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입니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a)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모든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합니다. (b)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로 표현됩니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습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리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립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표현한 문자열 arrangemen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잘린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ngement의 길이는 최대 100,000입니다.
  • arrangement의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는 항상 쌍을 이룹니다.

입출력 예

arrangementreturn

()(((()())(())()))(()) 17

입출력 예 설명

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

 

출처 : 프로그래머스 - 쇠막대기


네 드디어 레벨1을 다풀고 레벨 2로 올라왔습니다!!

 

문제를 풀다보니 이제는 바로 풀지 않고 생각이라는 것을 하게 됩니다. ㅎㅎ

 

이번 문제는 다른 어떤 연산자에 대한 처리를 요구하는 문제 같지는 않더라구요.

 

문자열을 처리해서 그에 대한 값만 연산 하면 되는것으로 생각을 하게 되어 풀어 보았습니다.

 

 

문제를 잘 읽으셨다면 파라미터로 받은 문자열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레이저 (자르기) -> "()"
쇠막대기 시작 시점 -> "("
쇠막대기 끝나는 시점 -> ")"

네 이부분을 파악 하셨다면 문제는 간단하게 풀릴것으로.. 생각 합니다!?

 

가독성 및 연산을 돕기 위해서 레이저 커팅 "()"을 한개의 문자열 "*"으로 변경 할게요.

파라미터 인풋 문자열  -> "()(((()())(())()))(())"
 
let ironBarString = arrangement.replacingOccurrences(of: "()", with: "*")
 
// *(((**)(*)*))(*)

 

이렇게 보면 이제 간단한 규칙이 보이실거에요.

 

쇠막대기는 아래에서 위로 겹처저서 올려야 합니다. 

 

문자열중 "*"이후에 "(((" 3개가 들어오는데 이부분이 쇠막대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조 그러면 현재 선반에는 3개의 쇠막대기가 올라가 있어요.

 

그리고 바로 컷팅 문자열 "*"이 들어와서 컷팅을 진행하면 3개의 쇠막대기가 생기니 누적 쇠막대기는 3개 입니다.

 

아직 선반위에 3개가 모두 있는데 한번 더 컷팅을 하니 3개가 또 생기게 되어 누적 쇠막대기는 6개가 될겁니다.

 

그리고 ")" 문자열이 들어오는데 이 문자열은 쇠막대기가 끝나는 시점을 알려주기 떄문에 1개의 쇠막대기가 추가로 바로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 현재까지 총 7개의 쇠막대기가 잘린것을 확인 하셨조?

 

그림과 같이 한번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거에요..?

 

그렇다면 이제 규칙이 눈에 보이실거에요.

 

컷팅을 할때는 이전의 올라간 쇠막대기 갯수만큼 발생한다.

쇠막대기가 감소? 종료하는 시점에는 1개의 쇠막대기가 발생한다.

 

이걸 코드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겠조.

// 쇠막대기 증가 -> "("
// 쇠막대기 감소 -> ")"
// 쇠막대기 컷팅 -> "*"

ironBarString.forEach { action in
        switch action {
        case "*":
            ironCount += openIronBarCount
            break
        case "(":
            openIronBarCount += 1
            break
        case ")":
            ironCount += 1
            openIronBarCount -= 1
            break
        default:
            break
        }
    }

 

알고리즘이 모두 그런것은 아니겠지만. 원리와 해결방법만 명확히 이해하였다면

 

코드로 구현하는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 수도 있다!? 라는 문제였던거 같습니다.

 

 

func solution(_ arrangement:String) -> Int {
    let ironBarString = arrangement.replacingOccurrences(of: "()", with: "*")
    print(ironBarString)
    
    var ironCount = 0
    var openIronBarCount = 0
    
    ironBarString.forEach { action in
        switch action {
        case "*":
            // print("Cuting >> openIronBarCount = \(openIronBarCount), ironCount = \(ironCount) + \(openIronBarCount)")
            ironCount += openIronBarCount
            break
        case "(":
            // print("Open IronBar>> openIronBarCount = \(openIronBarCount) + 1")
            openIronBarCount += 1
            break
        case ")":
            // print("Close IronBar >> openIronBarCount = \(openIronBarCount) - 1, ironCount = \(ironCount) + 1")
            ironCount += 1
            openIronBarCount -= 1
            break
        default:
            break
        }
    }
    
    return ironCount
}

let result = solution("()(((()())(())()))(())") // return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