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sm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Swift)
codinglearn
2020. 7. 3. 11:01
반응형
문제 설명
정수를 저장한 배열, arr 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단, 리턴하려는 배열이 빈 배열인 경우엔 배열에 -1을 채워 리턴하세요. 예를들어 arr이 [4,3,2,1]인 경우는 [4,3,2]를 리턴 하고, [10]면 [-1]을 리턴 합니다.
제한 조건
- arr은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 인덱스 i, j에 대해 i ≠ j이면 arr[i] ≠ arr[j] 입니다.
간단하조. 테스트 케이스 통과 ! 채점 진행...
func solutionA(_ arr:[Int]) -> [Int] {
var array = arr.sorted(by: >)
array.removeLast()
return array.count > 0 ? array : [-1]
}
print(solutionA([[4,3,2,1]]))
// [4,3,2]
어랏!? 다 틀렸다고 나오네.. 뭐지?
아... 문제를 똑바로 또 안읽었구나.. 정렬까지 포함인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Array 내장함수인 min함수를 사용하면 가장 작은수를 리턴해줍니다.
요거를 firstIndex함수를 사용하면 그 작은 수의 인덱스 위치를 알려주고.
이것을 다시 Array배열에서 제거를 한뒤
Array 배열이 0이면 [-1]을 리턴해주고 아니라면 가장 작은 수 를 제거한 배열을 리턴해줍니다.
내부 함수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내부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다시 한번 함수를 사용 안하고 풀어보는 것이 공부에는 더 좋을 것 같네요.
func solution(_ arr:[Int]) -> [Int] {
var array = arr
array.remove(at: array.firstIndex(of: array.min()!)!)
return array.count > 0 ? array : [-1]
}
print(solutionA([[4,3,2,1]]))
// [4,3,2]
print(solution([1,3,2,5,4,6,8,7,9]))
// [3,2,5,4,6,8,7,9]
반응형